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JavaScript30
- Git
- materialUI왼쪽정렬
- vscode
- 비전공자자바스크립트
- 탭바왼쪽정렬
- 비전공자코딩
- Python
- UX
- FE개발자
- JavaScript
- UI
- VanilaJavascript
- Today
- Total
행복을 찾아서 ...
API란? 본문
오늘 서비스기획 과제 멘토링 과제!

API가 뭐에요? 라는 질문에 2문장정도로 쉽고 간단하게 설명하는 것이다.
그래도 나름 발로 짠 코드라도 앱 개발을 해 본 사람으로써,,, API를 좀 다뤄보긴 했다. 근데 단순 화면 UI 개발보다 훨씬 개념을 이해하기 어려워서 잘 못했다. 이해가 완벽히 되지 않은 상태로 무지성으로 코드를 짠 것 같다.
다시 한 번 제대로 개념을 정립해보고자 한다.
나는 API를 이렇게 정의하겠다. API는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통신에 필요한 명령이다. 우리가 보는 웹앱 화면에는 수많은 ’데이터‘ 가 보여진다. 보여지는 데이터도 있고, 보여지지 않는 데이터도 있다.
여기에 보이는 이 모든 데이터는 서버에서 불러와지는 데이터이다. 그리고 클라이언트 개발자는 여기에 보이는 이 데이터를 화면에 띄우기 위해, 또는 유저가 입력하면 띄워지게 하기 위해 서버에 명령을 요청한다. 이 때! API 를 통해 요청하는 것이다.
그러니까, API는 일종의 컴퓨터 명령 체계라고도 할 수 있겠다.
화면에 날짜를 띄우고 싶으면, 클라 개발자는 화면에 날짜를 띄울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놓고, 이 안에 들어갈 날짜데이터는 API로 서버와 연결을 해놓는다 .
그러면 서버 개발자는 그 공간에 들어갈 데이터를 불러오는 코드를 개발해놓는다.
여기서 연결이 성공하면 터미널에 success ,즉 200이라는 응답이 날아오고 화면에 예쁘게 날짜가 뜬다 ^^
실패하거나 에러가 생기면 400,500 코드가 날아온다.
결론 : API는 클라와 서버간의 통신을 위해 필요한 하나의 약속 체계이다.

서버와 클라의 연결고리!
소통이 가능하게 해주는 하나의 언어..? 영어같이 만국 공용어 같은..?